스포츠

수비형 미드필더 6번에 대해서

2025.03.27춘식이
콘텐츠 이미지

수비형 미드필더 6번에 대해서



국가대표팀 경기 보면서 후방 빌드업 공부하고 있는데


6번 선수라는걸 다시 생각하게 된 듯


6번이 센터백을 보호 한다라는 개념을 그냥 센터백 라인의 앞 선 저지선 개념으로 알고 있었는데

바르셀로나, 아스날, 맨시티 경기를 보다 보니 그런 저지선이 아님




뛰어난 6번 선수는 모든 수비 지역 빈 공간을 커버한다(스위칭) 개념으로 이해를 해야함


해축 32빌드업, 후방 빌드업 사용하는 팀들 보면 

이런 수비 지역 빈 공간을 커버 하는 선수들이 엔도, 키미히, 더용, 파티, 스톤스 이런 선수들인데




보면 하나같이 공통점이 수비 지역 어느 지역에서라도 1인분 하면서 뛸 수 있는 자원들임


예를 들면 이런 느낌임




후방의 왼.오 센터백, 왼.오 풀백, 수미, 중미 이 수비 지역 모두 다 뛸 수 있어야 함


그래서 내가 봤을때 권혁규 조진호는 이 6번으로는 뛸 수가 없음.

뛰더라도 한정적인 빌드업 형태의 6번이지.

선수가 수비 지역 커버 할 수 있는 포지션이 있고 그게 한정적이니까..!



차라리 황재원 같이 센터백, 풀백, 수미, 중미

수비 모든 지역 다 뛰면서 커버 하는 선수들이

이 국대 차기 6번으로 좀 가능성이 있는거임


상대 전방 압박을 각 수비 지역 스위칭으로 커버하고

무력화 시켜야 하는게 이 6번의 임무야 


그게 후방 빌드업 6번임 


그리고 센터백이 풀백(그바르디올, 쿤데)으로 뛰고 센터백이 수비형 미드필더(스톤스)에 뛰고

이런 경우들 많이 봤을텐데 그건 전술 대응의 안정성이랄까?


그러니까 감독들도 전술 잘 짜도 상대가 어떻게 나올지는 아무도 모르는거잖아

나랑 맞불을 놓을지 아니면 뒷 공간 내주지 않으면서 5백으로 틀어막을지

그래서 실제 게임에서는 전술 변화가 있고

전술 변화가 생기더라도 그곳에서 안정성 있게 뛸 수 있는 선수들을 배치 해두는거임

0
조회수0
댓글0
최신순
댓글순서고르기
최신순추천순
댓글쓰기

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당신의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!
    댓글쓰기
    다른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욕설이나 비방 목적의 댓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.

    소중한 의견을
    댓글로 작성해주세요 💬

    푸터 고정 탑버튼